뉴스경산

자동차 정차시 rpm 상승 증상 차종은 k3이고 주행거리 9만인데요정차시 p단에 두면 rpm이 간헐적으로 800에서 1200까지

2025. 4. 26. 오전 12:02:03

자동차 정차시 rpm 상승 증상 차종은 k3이고 주행거리 9만인데요정차시 p단에 두면 rpm이 간헐적으로 800에서 1200까지

차종은 k3이고 주행거리 9만인데요정차시 p단에 두면 rpm이 간헐적으로 800에서 1200까지 올라갔다가 내려갔다를 반복합니다스로틀바디 청소를 하면 나을수도 있다는데 아니면 다른 부품을 교체해야되나요?

K3에 정차 시 P단에서 RPM이 800에서 1200까지 오르내리는 증상은 상당히 대표적인 공회전 불안정(아이들링 불량) 문제입니다. 간헐적으로 그런 현상이 발생한다면, 다음과 같은 원인들을 점검해볼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 및 해결 방법

1. ✅ 스로틀 바디 오염

  •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 카본 찌꺼기가 쌓여서 공기 흐름이 불안정해지면 아이들링이 흔들립니다.

  • 스로틀 바디 청소만으로도 증상이 개선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정비소 기준 2~4만 원 정도면 청소 가능.

2. ISC 밸브(Idle Speed Control Valve) 이상

  • K3는 ISC 밸브(또는 IAC 밸브)가 붙어 있는 구조일 수 있는데, 이 밸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RPM이 요동칠 수 있습니다.

  • 청소로 해결될 수도 있고, 오작동 시 교체 필요 (보통 10만 km 근처에서 문제 생김)

3. ⚡ 센서 불량 (예: MAP 센서, MAF 센서)

  • 흡기량을 측정하는 센서가 고장나면 ECU가 잘못된 공기량으로 연료 분사를 하기 때문에 RPM이 튈 수 있어요.

  • OBD 스캐너로 오류코드 확인이 먼저 필요합니다.

4. 점화계통 문제 (점화플러그, 코일 등)

  • 엔진이 제대로 연소되지 않으면 공회전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 특히 플러그가 3~4만 km 이상 사용되었거나, 코일이 약해졌을 경우 이런 현상 가능

5. ECU 셋팅값 초기화 필요

  • 스로틀 바디 청소 후에도 RPM이 튀는 경우, ECU 리셋(학습 초기화) 작업이 필요할 수 있어요.

  • 정비소에 요청하면 쉽게 해줍니다.

✅ 정리: 어떻게 점검할까?

  1. 스로틀 바디 청소 먼저! (비용도 저렴하고 확률 높음)

  2. 그래도 안 되면 OBD 진단기 연결해서 에러코드 확인

  3. ISC 밸브, 흡기 센서 계통 점검

  4. 이상 없으면 점화계통 (플러그, 코일) 점검

혹시 엔진체크등이 들어온 적 있거나, 에어컨 작동 시 RPM 변화가 더 심해지는 경우도 있었나요? 그런 경우는 추가로 점검할 수 있는 부분들이 있으니 알려주세요!

글 목록으로 돌아가기